반응형
Poisson Distribution
P(x ; λ) = ( λx / x! ) / eλ
이 확률분포는 전체 확률의 합이 1이 될까?
ea 의 테일러 전개를 보자.
ea = a0 / 0! + a1 / 1! + a2 / 2! + ... + an / n! + ...
위 식에서 a 를 λ 로 치환하고 보면, 좌변은 eλ 이고, 우변의 각항은 P(0;λ), P(1;λ), ... P(n;λ)... (에 비례하는 값)임을 알 수 있다.
거꾸로 말하자면, 푸아송 분포는 eλ의 테일러전개의 n번째 항의 비율을 확률로 갖는 분포이다.
이렇게 식을 외우면 좀 더 기억이 잘 되겠는데, 무슨 직관(=>see also 2)이 더 얻어질 수 있을까?
테일러전개에서 전체에 기여하는 항은 n ~ x 인 항과 그 주변 항들이다?
see also : https://m.blog.naver.com/gdpresent/221138159977
see also2 : intuition towardsdatascience.com/poisson-distribution-intuition-and-derivation-1059aeab90d
728x90
'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최근에 받은 피싱메일 (1) | 2018.04.18 |
---|---|
윤금이 사건 Kenneth Lee Markle III 링크모음 (0) | 2017.07.27 |
라마누잔, 무한, 급수, 확장된 급수 (0) | 2017.04.06 |
시침과 분침이 만나는 시각 또는 각도는? (0) | 2017.01.30 |
다음 고객센터 사칭 피싱메일 / 해외 로그인이 차단되었습니다 , 아이디 보호 안내 (4) | 2016.07.05 |